top of page

2025년 4월, 서울경제진흥원(SBA) 주최로 열린 “K-브랜드 글로벌 진출 실전 밋업” 현장, 밀리밀리 뷰티브랜드의 기존방식 vs 디지털무역방식 수출 성공 사례

오프라인 박람회 VS 디지털 무역, "밀리밀리" 브랜드의 디지털 무역 성공사례 발표 - by 커넥트에이아이 양송이 대표

“수출을 단, 한 달만에 성공!!”

이 말은 단순한 마케팅 문구가 아닙니다.

뷰티 브랜드 ‘밀리밀리’가 디지털 무역으로 수출한 성공사례


그럼, 과연 무엇이 달랐는지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.


[ 디지털 무역, 한 달 동안 어디까지? - 성공사례 발표 - 커넥트AI 양송이 대표 ]
[ 디지털 무역, 한 달 동안 어디까지? - 성공사례 발표 - 커넥트AI 양송이 대표 ]
혹시 이런 고민, 해본 적 있으세요? “우리 제품은 좋은데… 어떤 나라, 어떤 기업에 수출해야 할지 모르겠어요.” “1년동안 12개국의 전시회 다녀왔는데, 실제 계약으로 연결된 건 없어요", “링크드인에서 메시지를 보내봤지만~ 답을 기다리고 있어요?"

B2B 수출, 왜 이렇게 어려울까요? 그 이유는 ‘결정권자’를 못 만나기 때문이에요.

바이어를 찾는것, 너무 어렵고, 겨우 연락해도 답장은 없고, 설사 만나도 어떻게 협상을 해야 계약까지 가는 건지… 이제, 정확한 전략으로 결정권자 매칭이 필요할 때입니다.

1. 기존 방식: 밀리밀리 유민혜 대표, 1년동안 12회 뷰티전시회 참가 영상

[ 유민혜 대표의 실제 박람회 참여영상 ]

참여한 박람회 수: 12회 총 소요 기간: 준비 기간 + 출장 포함 약 1년, 지출비용 : 약 1억 2천만원 바이어 미팅 수 :약 60회 이상, 계약 성사 수 : 계약 없음 / 성과 없는 피로감 문제 요인: 담당자 전환, 샘플 지연, 내부 승인 미완료

유민혜대표는 일반적인 K-뷰티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해외 박람회에 수차례 참가하며 글로벌 시장을 개척해왔습니다. 하지만 시간, 비용, 인력 소모가 크고, 큰 성과는 없고, 계약 전환률도 낮았고, 결정권자와 직접 연결되기 어려웠습니다 .




2. 디지털 무역 방식: Connect AI와의 B2B 수출하기.

[ 1단계 - 결정권자 제안서 업로드 ] 수출을 결정하는 현지 기업의 결정권자가 궁금해 할 내용들을 아주 간결하고 명확하게 담아, 기업이 신뢰할 수 있고, 어떤 제품으로 소비자분들께 사랑받고 있는지 "리뷰"데이터를 모아 제안서를 만듭니다. B2C채널에서 광고마케팅, 인플루언서마케팅, IP특허, 인증등 경쟁력을 한번에 볼 수 있게 합니다.


[커넥트AI] 밀리밀리 브랜드 제안서 업로드
[커넥트AI] 밀리밀리 브랜드 제안서 업로드

[ 2단계 - 시장 분석 & 결정권자 선별 ]

커넥트AI 솔루션은 제안서를 분석하여

"기업의 역량진단 -> 시장조사 및 경쟁환경분석 자동화"를 거쳐

우선 진출국가의 기업 결정권자가 자동 리스팅됩니다.

[ 밀리밀리 제안서 분석 후 우선순위 국가별 결정권자 자동 리스팅 ]

[ 3단계 - 결정권자 컨택 & 실시간 반응 모니터링] 바이어에게 보낸 이메일을 열었는지, 제안서를 얼마나 집중해서 읽었는지,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.


단 한 번의 박람회 없이, 정밀한 타깃 바이어에게 제안서가 전달되었고, 한번의 컨텍으로 18개 기업에서 거래문의가 왔으며,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관심기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[ 4단계 - 바이어 매칭 : 중동 대형 리테일 화상미팅 ]

그중 가장 뜨거운 반응을 보인 바이어 중 우선 협상대상으로 중동의 대형 유통사와 연결되였고,

• 구매 결정권자 연결

• 샘플 전달 및 제품 리뷰

• 정식 품평회 후 발주

정확한 결정권자와 연결된 점이 핵심입니다.

[ 커넥트에이아이는 결정권자의 정확한 정보가 전달됨 ]
[ 커넥트에이아이는 결정권자의 정확한 정보가 전달됨 ]
[ 다양한 국가의 뷰티 유통채널 결정권자가 1차 컨텍에 총 18건 거래문의 옴 ]
[ 다양한 국가의 뷰티 유통채널 결정권자가 1차 컨텍에 총 18건 거래문의 옴 ]
[ 중동 리테일 기업과 빠른 왓츠앱 개설을 통해 샘플 전달 ]
[ 중동 리테일 기업과 빠른 왓츠앱 개설을 통해 샘플 전달 ]
[ 중동 200개 리테일채널 소싱 결정권자와 샘플전달 후 화상회의를 통해 거래조건 협상 ]

결론은, 밀리밀리 디지털무역, 한달 동안 어디까지? 바이어 연결 -> 거래문의 -> 샘플전달 → 화상회의 → 협상->발주

• 3월 13일: 왓츠앱 개설

• 3월 16일: 관심 제품 추가 요청

• 3월 31일: 샘플 전송

• 4월 3일: 품평회, 화상회의

4월 11일: 매입 일정 논의 후 발주!!



커넥트에이아이 솔루션을 통한 디지털 무역의 가치

• 시간 단축: 기존 수개월 → 4주

• 비용 절감: 박람회 대비 약 70%

• 성과 향상: 계약전환율 대폭 상승, 신뢰기반 계약 가능



이 모든 성과는 단지 “운이 좋은 바이어를 만났기 때문”이 아니라,
"AI 기반 매칭 시스템과 실시간 결정권자 모니터링"이 있었기 때문이죠!


유민혜대표는 이제 ‘커넥트에이아이 솔루션’으로 수출 전략을 바꿨습니다.


이제 중요한 건 단순히 많은 바이어를 만나는 것이 아닙니다.


“누구와, 어떻게,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연결되느냐”가 수출 성공의 핵심입니다.
밀리밀리의 성공사례는, 많은 K-브랜드에게 던지는 실질적 질문입니다.


“당신의 브랜드는 아직도 박람회를 준비하고 있나요?" 커넥트AI의 '수출 성공전략'에 대해 더 알고싶다면, 문의해 주세요!









 
 
 

Comentarios


bottom of page